2022. 11. 13. 16:24ㆍ네트워크(Network)
Switch VLAN 가상 분할 네트워크 (분할, 유연성, 보안성)
$ Static VLAN - 관리자가 직접 VLAN을 할당
$ Dynamic VLAN - 거의 사용하지 않음
$ End-to-End VLANs - Multi Switch를 사용하지 않고 L2만 사용, 각 동일 건물 내에 VLAN끼리 연결
거의 사용하지 않음
$ Local VLANs - 각 동일 건물 내에 VLAN을 따로 연동, 건물 하나가 Switch Block, 통상 쓰는 VLAN
비용이 많이 듬
VTP - 비권장
Switchport : Access Port
Access 포트 - 실제 포트에서 사용할 VLAN을 지정하는 행위
(0~4095)
0,4095 - 예약된 번호
1, 1002~1005 - 미리 정의된 번호
Switchport : Trunk Port
Trunk - Inter Switch(서로 다른 스위치) 링크 구간에서 Trunk Port를 설정
보낼때 tag를 붙여주고 받을때 tag를 제거
cisco 프로토콜(ISL)은 쓰지 않는다 표준 프로토콜(802.1Q)을 사용
ㅁ 표준 프로토콜(802.1Q) 설정
ㅁ 자동 협상기능을 끈다, GNS에서는 지원안함
ㅁ native VLAN 지정
ㅁ VLAN 목록을 허용
Native VLAN - Hub를 이용하던 시절의 기술, 사용안함
Inter switch 사이에 Hub가 있으면 tag해석 못함, 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옴
access port 설정
1F_SW(config)#int range fa 0/1 - 24 → 0/1~0/24 interface 선택
1F_SW(config-if-range)#shu → 모두 꺼놓고 설정해야 보안상 좋다
1F_SW(config)#vlan 100
1F_SW(config-vlan)#name student → 이름 설정
1F_SW(config)#int fa 0/1
1F_SW(config-if)#desc ##Student_LAB_PC# → 주석처리, 장비가 많을 경우 헷갈리지 않도록
1F_SW(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 access mode 변한
1F_SW(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0
1F_SW(config-if)#no shu
서로 다른 Vlan 끼리는 ping 통신이 안됨
Trunk 설정(패킷트레이서)
1F_SW(config)#int fa 0/10
1F_SW(config-if)#desc ##Trunk_Port##
1F_SW(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1F_SW(config-if)#switchport nonegotiate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0,200,300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9
1F_SW(config-if)#no shu
Trunk 설정(GNS)
1F_SW(config)#int fa 0/10
1F_SW(config-if)#desc ##Trunk_Port##
1F_SW(config-if)#switchport encapsulation dot1q
1F_SW(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0,200,300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9
1F_SW(config-if)#no shu
1F_SW#show int trunk → trunk 설정 확인
RSTP 설정
Switch(config)#int range fa 0/1 - 3
Switch(config-if-range)#spanning-tree portfast → 이중화 상태에서 선하나가 끊겨 엔드디바이스들이 불필요한 정보해석에 대한 딜레이가 생길때 그 딜레이를 없앨 수 있음
[ MLS Switch L2, L3 Port의 역할구분 ]
1. L2 Port (IP 주소 할당 X)
=> Switchport (Access/Trunk/Tunnel)
2. L3 Port (IP 주소 할당 O)
=> Routed Port /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 L2 Switch (ex.Catalyst 2960)의 경우 물리적인 포트는 'Switchport(L2)' 역할만 가능
IP 주소를 할당할 수 없고, Access/Trunk/Tunnel 모드로 동작된다.
- L3 Switch (Catalyst 3550 이상)의 물리적인 포트는 'Switchport(L2)' 역할과 'Routed Port(L3)' 역할 중 하나를 관리자가 선택하여 사용
기본적으로 'Switchport(L2)'로 동작하며, Routed Port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 no switchport ] 명령어를 사용한다.
- L3 Switch는 Interface를 Routed Port(L3)로 변경 후 IP 주소를 할당하면 자신과 직접 연결 된
(Directly connected) Network는 통신이 가능하다.
- 추가로 Static Routing을 설정 후 다른 Network 대역과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IP Routing" 기능을
반드시 활성화 시켜주어야 한다. [ ip routing ]
- 'IP Routing'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Network 사이에서 통신이 불가능하고,
Routing Table에 정보가 등록되지 않는다.
- 또한 Dynamic Routing Protocol을 구성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 [ no switchport ] 와 [ ip routing ]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L2 Switch에서는 입력되지 않는다.
( IOS 버전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L2 Switch도 있다. )
- L2 Switch의 경우 Routing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때문에 SVI와 동일 VLAN 대역과는
통신이 가능하지만 외부 Network 대역 장치들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 L2 Switch가 외부 네트워크 대역의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End Device와 동일하게
'Default-Gateway'가 설정되어야 한다. [ ip default-gateway x.x.x.x ]
[ SVI를 사용 목적 ]
1) L2 Switch
=> Management 용도(Telnet/SSH/SYSLOG/NTP/SNMP...)
2) L3 Switch
=> Management 용도(Telnet/SSH/SYSLOG/NTP/SNMP...)
=> Gateway 용도(Inter VLAN Routing)
=> 일반 Routing 용도
[ SVI Interface 활성화 조건 ]
- SVI로 사용하고자하는 VLAN이 'VLAN Database'에 생성되어 있어야 한다.
- 해당 VLAN이 통과할 수 있는 Access Port 혹은 Trunk Port가 필요하다. ( shutdown이 아니어야 한다. )
- 여러개의 Port가 동일한 VLAN Member로 구성되어 있을경우, 1개의 Port만 활성화 되어있어도 SVI Interface는 활성화
=> 10번 VLAN fa0/1 포함 -> fa0/1 문제발생 -> VLAN 10번 비활성화 -> MLS SVI Interface DOWN
=> 10번 VLAN fa0/1-2 포함 -> fa0/1 문제발생 -> VLAN 10번 활성화 -> MLS SVI Interface UP
'네트워크(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Enterprise Campus Network - Switch FHRP( HSRP, VRRP ) (0) | 2022.11.13 |
---|---|
Enterprise Campus Network - Inter-VLAN (0) | 2022.11.13 |
Enterprise Campus Network (0) | 2022.11.13 |
Network - Catalyst Switch (0) | 2022.11.13 |
Network - Redundant Topology & STP (0) | 2022.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