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erprise Campus Network - VLAN

2022. 11. 13. 16:24네트워크(Network)

Switch VLAN 가상 분할 네트워크 (분할, 유연성, 보안성)

 

$ Static VLAN - 관리자가 직접  VLAN을 할당 

$ Dynamic VLAN - 거의 사용하지 않음

$ End-to-End VLANs - Multi Switch를 사용하지 않고 L2만 사용, 각 동일 건물 내에 VLAN끼리 연결

                               거의 사용하지 않음

$ Local VLANs - 각 동일 건물 내에 VLAN을 따로 연동, 건물 하나가 Switch Block, 통상 쓰는 VLAN

                        비용이 많이 듬

VTP - 비권장

 

Switchport : Access Port

Access 포트 - 실제 포트에서 사용할 VLAN을 지정하는 행위

(0~4095) 

0,4095 - 예약된 번호

1, 1002~1005 - 미리 정의된 번호

 

Switchport : Trunk Port

Trunk - Inter Switch(서로 다른 스위치) 링크 구간에서 Trunk Port를 설정

            보낼때 tag를 붙여주고 받을때 tag를 제거

            cisco 프로토콜(ISL)은 쓰지 않는다 표준 프로토콜(802.1Q)을 사용

 

표준 프로토콜(802.1Q) 설정

자동 협상기능을 끈다, GNS에서는 지원안함

native VLAN 지정

VLAN 목록을 허용

Native VLAN - Hub를 이용하던 시절의 기술, 사용안함

                        Inter switch 사이에 Hub가 있으면 tag해석 못함, 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옴

 

access port 설정

1F_SW(config)#int range fa 0/1 - 24 → 0/1~0/24 interface 선택

1F_SW(config-if-range)#shu → 모두 꺼놓고 설정해야 보안상 좋다

 

1F_SW(config)#vlan 100 

1F_SW(config-vlan)#name student → 이름 설정

 

1F_SW(config)#int fa 0/1

1F_SW(config-if)#desc ##Student_LAB_PC# → 주석처리, 장비가 많을 경우 헷갈리지 않도록

1F_SW(config-if)#switchport mode access → access mode 변한

1F_SW(config-if)#switchport access vlan 100 

1F_SW(config-if)#no shu

서로 다른 Vlan 끼리는 ping 통신이 안됨

 

Trunk 설정(패킷트레이서)

1F_SW(config)#int fa 0/10

1F_SW(config-if)#desc ##Trunk_Port##

1F_SW(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1F_SW(config-if)#switchport nonegotiate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0,200,300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9

1F_SW(config-if)#no shu

 

Trunk 설정(GNS)

1F_SW(config)#int fa 0/10

1F_SW(config-if)#desc ##Trunk_Port##

1F_SW(config-if)#switchport encapsulation dot1q

1F_SW(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allowed vlan 100,200,300

1F_SW(config-if)#switchport trunk native vlan 999

1F_SW(config-if)#no shu

 

1F_SW#show int trunk → trunk 설정 확인

 

RSTP 설정 

Switch(config)#int range fa 0/1 - 3

Switch(config-if-range)#spanning-tree portfast → 이중화 상태에서 선하나가 끊겨 엔드디바이스들이 불필요한 정보해석에 대한 딜레이가 생길때 그 딜레이를 없앨 수 있음

 

[ MLS Switch L2, L3 Port의 역할구분 ]

1. L2 Port (IP 주소 할당 X)

 => Switchport (Access/Trunk/Tunnel)

 

2. L3 Port (IP 주소 할당 O)

 => Routed Port / SVI(Switched Virtual Interface)

 

- L2 Switch (ex.Catalyst 2960)의 경우 물리적인 포트는 'Switchport(L2)' 역할만 가능

  IP 주소를 할당할 수 없고, Access/Trunk/Tunnel 모드로 동작된다.

 

- L3 Switch (Catalyst 3550 이상)의 물리적인 포트는 'Switchport(L2)' 역할과 'Routed Port(L3)' 역할 중 하나를 관리자가 선택하여 사용

  기본적으로 'Switchport(L2)'로 동작하며, Routed Port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 no switchport ] 명령어를 사용한다.

 

- L3 Switch는 Interface를 Routed Port(L3)로 변경 후 IP 주소를 할당하면 자신과 직접 연결 된

   (Directly connected) Network는 통신이 가능하다. 

 - 추가로 Static Routing을 설정 후 다른 Network 대역과 통신을 하기위해서는 "IP Routing" 기능을

    반드시 활성화 시켜주어야 한다. [ ip routing ]

 - 'IP Routing'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서로 다른 Network 사이에서 통신이 불가능하고,

   Routing Table에 정보가 등록되지 않는다. 

 - 또한 Dynamic Routing Protocol을 구성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 [ no switchport ] 와 [ ip routing ] 명령어는 기본적으로 L2 Switch에서는 입력되지 않는다. 

    ( IOS 버전에 따라 입력이 가능한 L2 Switch도 있다. )

 

- L2 Switch의 경우 Routing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때문에 SVI와 동일 VLAN 대역과는

   통신이 가능하지만 외부 Network 대역 장치들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 L2 Switch가 외부 네트워크 대역의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End Device와 동일하게

   'Default-Gateway'가 설정되어야 한다. [ ip default-gateway x.x.x.x ] 



[ SVI를 사용 목적 ]

1) L2 Switch

   => Management 용도(Telnet/SSH/SYSLOG/NTP/SNMP...)

 

2) L3 Switch

   => Management 용도(Telnet/SSH/SYSLOG/NTP/SNMP...)

   => Gateway 용도(Inter VLAN Routing)

   => 일반 Routing 용도

 

[ SVI Interface 활성화 조건 ]

- SVI로 사용하고자하는 VLAN이 'VLAN Database'에 생성되어 있어야 한다.

- 해당 VLAN이 통과할 수 있는 Access Port 혹은 Trunk Port가 필요하다. ( shutdown이 아니어야 한다. )

- 여러개의 Port가 동일한 VLAN Member로 구성되어 있을경우, 1개의 Port만 활성화 되어있어도 SVI Interface는 활성화

  => 10번 VLAN fa0/1 포함 -> fa0/1 문제발생 -> VLAN 10번 비활성화 -> MLS SVI Interface DOWN

  => 10번 VLAN fa0/1-2 포함 -> fa0/1 문제발생 -> VLAN 10번 활성화 -> MLS SVI Interface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