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1. 23. 14:44ㆍ리눅스(Linux)
$ fdisk
# fdisk -l
- 시스템에 연결된 디스크 정보 확인
# fdisk -l /dev/sda
- 특정 디스크 정보 확인
# fdisk /dev/sdb
- 디스크 파티션 구성하기
q →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
w → 저장하고 나가기
m → 도움말
n → 파티션 추가
d → 파티션 삭제
p → 현재파티션 출력
Start → 2048번호 섹터 시작
End → 2099199번호 섹터 까지
Blocks → 크기 (ex- 204800=200M)
Id → System 고유 식별 Id
(ex- Linux = 83, Linux LVM = 8e, Extended=5)
lsblk → 전체 구조 확인하기
sr0 → cdrom
blkid → 파티션에 어떤 파일시스템이 탑재 되었는지 확인
UUID → 장비 구분 id
file system 생성
mkfs, mke2fs 를 이용하여 원하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 한다
# mkfs -t ext2 /dev/sdb1
- mkfs 를 이용하여 ext2 파일 시스템 생성
# mkfs -t ext3 /dev/sdb2
- mkfs 를 이용하여 ext3 파일 시스템 생성
# mke2fs /dev/sdb1
- mke2fs 를 이용하여 ext2 파일 시스템 생성
# mke2fs -j /dev/sdb2
- mke2fs 를 이용하여 ext3 파일 시스템 생성
# mkfs.(파일시스템 - xfs, ex4) /dev/sdb1
- mkfs 를 이용하여 xfs, ex4 파일 시스템 생성
# mkfs.xfs -f /dev/sdd
- 구성한 파티션은 지우고나서 디스크 포맷
Mount
$ What is Mount?
- 파일 시스템 구조 내에 있는 일련의 파일들을 사용자나 사용자 그룹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
- 리눅스 환경에서 “mount”라는 명령은 논리적으로 디스크와 디렉터리를 붙이는 것을 말함
- 지역이나 원격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지역 마운트는 하나의 논리적 시스템으로서 행동하도록 여러대의 디스크 드라이브들을 하나의 컴퓨터 상에 접속한다
- 원격 마운트는 다른 컴퓨터 상의 디렉터리들에 접속하기 위해 NFS(Network File System) 을 사용한다
$ 파일 시스템 사용하기
- Windows시스템에서는 파티션을 생성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브명" 이라고 하는 특정문자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지지만 Unix/Linux는 관리자가 직접 파티션을 특정 문자(디렉터리) 에 연결하여야 되는데 그것을 마운트라 한다.
$ 파일시스템의 마운트와 언마운트
- 리눅스에서는 파티션을 연결하는데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mount 명령어를 통해 수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 /etc/fstab 파일 내에 마운트할 항목을 추가하여 부트시에 자동으로 마운트 하는 방법
- 파일시스템의 사용을 중지할때는 umount 명령어를 사용한다.
$ Mount 명령어 사용형식
# mount [ Opton ] [ Device ] [ Directory ]
Option
-a : /etc/fstab에 기술되어있는 모든 파일시스템을 마운트 한다.
-t : 파일시스템의 형식을 지정한다.
-n : /etc/mtab 파일에 정보를 남기지 않고 마운트한다.
-o : -o [ Option ] 뒤에 콜론(",") 으로 다음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async : 파일시스템에 대한 I/O가 비동기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
defaults : rw, suid, dev, exec, auto, nouser, async를 기본 옵션으로 사용한다.
nosuid : SetUID, SetGID를 무시하게 된다.
suid : SetUID, SetGID가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remount : 이미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다시 마운트 한다.
Ex)
# mount -t ext3 /dev/sda1 /test
$ umount : 장치연결 해제하기
# umount [ Option ] [ Device ] or [ Directory ]
- 파일시스템의 연결을 해제하여 사용을 중지한다.
Option
-a : /etc/fstab에 기술되어있는 모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를 해제할 때 사용하지만,정상적인 상황에서 실행해서는 안된다.
-f : 강제로 연결해제 할때 사용할 수 있으며 NFS서비스에 연결되어있는 파일시스템을 연결해제 할 때 이용할 수 있다.
Ex)
# umount /dev/sda1
# umount /test
$ Mount 명령어 사용 예
# mount
/dev/sda3 on / type ext3 (rw)
proc on /proc type proc (rw)
sysfs on /sys type sysfs (rw)
devpts on /dev/pts type devpts (rw,gid=5,mode=620)
/dev/sda6 on /usr type ext3 (rw)
/dev/sda2 on /tmp type ext3 (rw)
/dev/sda1 on /boot type ext3 (rw)
sunrpc on /var/lib/nfs/rpc_pipefs type rpc_pipefs (rw)
none on /proc/fs/vmblock/mountPoint type vmblock (rw)
- 현재 마운트된 정보를 볼 수 있다
# mount -t ext3 /dev/sdb2 /mount_test
- 로컬 파일시스템 연결하기
# mount -o ro /dev/cdrom /mnt/cdrom
- CD-ROM 을 /mnt/cdrom 디렉터리에 연결
# mount -t nfs [IP:/EXPORT DIR] [LOCAL DIR]
- 원격 nfs 파일 시스템 마운트
# umount [DIR] / [Device Name]
- 마운트 해제
df -h → 마운트 확인
tmpfs, devtmpfs → 재부팅시 초기화되는 목록
/dev/mapper/ centos-root → 실제 저장되는 파티션 위치
Mounted on → Mount 되는 위치, 파티션은 개별 디렉터리랑 연결해서 사용해야 함
File System Table
$ 부팅시 자동 마운트설정 (오토 마운트)
- /etc/fstab 파일에서 설정
- 총 6개의 필드로 구성
LABEL=/boot /boot ext3 defaults 1 2
- /etc/fstab 파일 예제
LABEL=/boot : boot 디바이스를 의미
/boot : 마운트될 디렉터리
ext3 : 파일 시스템 타입
Defaults: 자동 마운트 여부
1 : dump 명령어에 의한 덤프가 필요한지에 대한 여부
2 : fsck 프로그램이 재부팅시 파일 시스템 체크에 대한 여부를 지정하며 1은
root(/) 파일 시스템이, 2는 그밖의 파일 시스템이다
SWAP
- 가상메모리를 만들어 SWAP공간 생성, RAM처럼 활용
- 실제 RAM 과는 역할이 다름, 실제 RAM은 연산에 사용할 메모리 활용
파티션 위치 이름 or UUID, 연결할 디렉터리 위치, 파일시스템의 타입,
defaults(Mount Option - nouser, rw, auto, exec, suid), quto (사용자 할당량 옵션, 필수 옵션아님), 0(덤프기능) 0(파일시스템체크기능) (xfs 타입에서는 고정 값)
File System Label
$ What is Filesystem Labels?
- Label은 장치를 참조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 e2label 명령어를 통해 ext2/ext3 파일시스템의 라벨을 변경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 e2label 명령어는 superblock 안에 label을 기록한다
# e2label /dev/sda1
- /dev/sda1 파티션의 라벨을 조회
# e2label /dev/sda1 bootsection
- /dev/sda1 파티션의 라벨을 설정
# mount LABEL=bootsection /boot
- 라벨을 이용한 mount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Swap Partition (스왑 파티션) (0) | 2022.11.23 |
---|---|
[Centos 7] Inode(아이노드) (0) | 2022.11.23 |
Disk management - File System, Partition (파일 시스템, 파티션) (0) | 2022.11.21 |
[Centos 7] process management tools (프로세스 관리 도구) - htop, monit, Nmon (0) | 2022.11.21 |
[Centos 7] Process Management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0) | 2022.11.20 |